주식책요약

챔피언처럼 생각하고 거래하라 - 챕터7 요약

지식DB 2025. 5. 31. 15:01
반응형

 

챕터7. 어떻게 그리고 언제 매수할 것인가 2

 

1. 대형 수익은 신고가에서 온다

- 초고수익을 내는 종목을 매수하는 유일한 길은 상승 과정 내내 신고가를 연속 경신하는 것뿐임을 기억하자.

 

2. 주도주가 먼저 바닥을 찍는다

- 시장에서 가장 큰 수익을 내는 종목들 중 일부는 산업군 전체 움직임을 따라 움직이는데 섹터의 강세가 명백해질 때쯤에 진짜 주도주들은 이미 가격이 급등한 상태일 때가 많다.

- 약세장이 바닥을 벗어날 때 하락을 잘 견딘 주도주들은 가장 먼저 반등하고 베이스를 깨고 나온다.

- 주도주는 가장 먼저 등장해서 시장이 상승할 무렵에 52주 신고가를 기록하는 종목이다.

 

3. 어떤 주도주를 먼저 살까?

- 시장이 저점을 벗어났을 때 브레이크 아웃을 보이는 종목순으로 살 것이다.

 

4. 3C 패턴

- 컵완성 속임수 패턴

- 속임수 영역은 컵 앤 핸들 패턴에서 컵 부분만 완성된 것으로 고전적인 컵 앤 핸들 패턴과 갖추어야 할 조건은 같다.

 

5. 속임수 패턴이란

a. 하락 추세

- 2단계 장기 상승세에서 종목은 중기적인 가격 조정을 겪는다. 이 하락 구간은 몇 주 또는 몇 달에 걸쳐 발생할 수 있다. 하락 추세에 따라 거래량이 증가할 때 급작스러운 가격 상승이 나타나는데 정상이다.

 

b. 상승 추세

- 가격이 단기적인 상승을 시도한다. 그러나 아직 매수할 때가 아니다. 가격은 보통 이전 하락의 1/3 또는 1/2을 회복하면서 우상향을 시작하지만 중기 하락 단계에서 발생한 매물대가 상당해서 가격 상승을 저지하고 소강상태 혹은 조정을 만든다.

 

c. 소강상태

- 며칠 또는 몇주에 걸쳐 주가의 움직임이 멈추고 평평한 가격대(속임수 패턴)를 형성한다.

- 가격 변동폭이 고점에서 저점까지 5~10%이내로 제한된다. 이때 주가가 전 저점 밑으로 내려가서 털어 내기 구간을 형성하면 최적의 상황이 된다.

- 이 시점에서 주식이 소강상태의 고점 위로 이동하면 거래 요건이 충족되었으므로 매수 준비를 한다.

- 가격의 진동폭이 좁아지고 거래량이 급격히 말라가면 브레이크 아웃이 준비되었다는 전형적인 신호다.

 

d. 브레이크 아웃

- 주가가 평평한 고점 가격대 위로 상승할 때 매수 주문을 낸다.

- 이 시점에서 주식이 방향을 전환한 것으로 간주한다.

- 주가가 저점에 도달했고 중기 추세가 상향이라는 것은 2단계 주 장기 추세와 동기화되었다는 뜻이다.

 

6. 낮은 속임수 패턴

- 베이스의 1/3하단부에서 형성된다.

- 이때 매수하는 것은 1/3 중간부 또는 1/3 상당부에서 매수하는 것보다 위험하다.

- 그러나 제대로만 공략하면 더 낮은 가격에 매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잠재적인 수이긍더 크다.

- 시가총액이 큰 종목과 신규 상장주에 낮은 속임수 패턴을 사용한다.

 

7. 이중 바닥

- 베이스 모양이 W자인 것을 의미하며 두 번째 다리가 첫 번째 다리 전저점을 하회하거나 시험하는 것을 말한다.

- 두 번째 다리가 첫 번째 다리를 하회하면 심약한 보유자들을 털어 낼 수 있다.

 

8. 파워 플레이

- 가장 중요하고 수익성이 높은 가격 배열 방식 중 하나이고 모든 기술적 패턴 중에서 가장 잘못 해석되는 방식 중 하나다

- 첫 번째로 필요한 것이 급격히 치고 올라가는 상승세다.

- 둘째 이 패턴에서 가격은 단기간 빠르게 올라갈 수 있으며 기업 전망의 지각 변동을 알리는 신호일 때가 많다.(FDA의 의약품 승인, 소송 해결, 신제품이나 새로운 서비스 발표 또는 실적보고서 등의 주요 뉴스가 나오면서 급격한 가격 상승이 촉발되지만 전혀 뉴스가 없을 때고 있다.)